COLUMNThe Paintings, Poems and Life Histories of Two Korean Women in Japan Aroused Many People’s Sympathy

Columnist: Pek Rum (Doshisha University, JSPS Research Fellow (PD) )

2022.12.07 UP
The images are provided by the monthly magazine ‘IO’.

The images are provided by the monthly magazine ‘IO’.

Under a beautiful autumn sky, we held an exhibition and a special event in success – Pak Min-ui and Yun Jeong-suk : Paintings, Poems and Life History of Second-Generation Korean Women in Japan.

We exhibited 19 works in Doshisha University’s Gallery in the first basement of Kambaikan.
Twelve of these works were originals from ‘The Songs for Korean Mothers’, which was serialized in the monthly magazine ‘IO’ from January to December 2020. Five works were newly composed collaborations, and two works were from storybooks: one from ‘Sannen-touge’ (1981) and one from ‘Ao-gaeru’ (1991).

Ms. Pak (1947- ) and Ms. Yun (1946- ) are both second-generation Koreans in Japan. They collaborated to create these works as follows: Ms. Yun composed her poems and Ms. Pak painted works inspired by the poems. As Mr. Itagaki, a moderator of the special event said that these collaborations were created by resonance of Ms. Pak and Ms. Yun and that neither of them was senior or subordinate.

The images are provided by the monthly magazine ‘IO’.

From ‘The Songs for Korean Mothers’, we can experience the four seasons of Korean life in Japan. Ms. Pak and Ms. Yun depict the happy time with their children in ‘The Thing that Makes Mother Happy’ (Number 1. in the series) and ‘Snow’ (Number 2.), the memory of first-generation Koreans in Japan in ‘Present’ (Number 3.) and ‘Great-Grandmothers’ (Number 5.). They depict their family enjoying a grand view of nature in ‘The Night Sea’ (Number 7.), care for the aged in ‘Zinnia’ (Number 8.) and ‘Rocking Chair’ (Number 9.), Korean food culture in ‘The Season of Kimjang’ (Number 11.), their hope for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in ‘Cradle Song of Father’ (Number 10.), and finally Korean school life in Japan in ‘Entrance for Korean Primary School’ (Number 4.), ‘Sports Festival in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Number 6.) and ‘Kites, High up in the Sky!’ (Number 12.).

The newly composed works were as follows. Ms. Pak and Ms. Yun depict the identity crisis of Koreans in Japan in ‘You Are Not the Only One’. In ‘Their Easy-Going Song’, Ms. Pak and Ms. Yun celebrate their longstanding friendship. One work that particularly resonated with visitors was ‘My Eyes are Welling Up at the Platform’, which represents emotions that many people understand. Another emotional work is ‘Regret’, which depicts Korean children’s struggle to understand their mothers’ difficulties living in Japan. Those first-generation Koreans in Japan remember their homeland in ‘Wind with a Full Harvest’. This was the first time these seventeen works have been exhibited.

In addition to the above works, we exhibited the original works from the storybooks ‘Sannen-touge’ and ‘Ao-gaeru’. We were therefore able to present the evolution of Ms. Pak’s style over time.

Supplementing the exhibit were some documents, including the storybooks ‘Heranai-inataba’ (1985) and ‘Ringo-no-okurimono’ (1987), coterie magazines ‘Tong-fa’ (1979, 1982 and 1987), the posthumous works of Ko Gap-soon, who was the most important teacher of Ms. Pak and Ms. Yun (1985 and 1992). Through these documents, we presented the two artists’ personal backgrounds to the visitor.

On October 21st, we had a special event. Firstly, I presented the aim of the exhibition, after which, we had a panel discussion with Ms. Pak and Ms. Yun chaired by Ms. Chang, Chief Editor of ‘IO’. They talked about how the series started, their passion for creation, and they shared anecdotes about their parents, their education and food culture, child rearing and care for the aged, and so on.

Beyond the emotions of Korean women, the multicultural audience was filled with happiness, understanding and sympathy; they were nodding and smiling during the conversation. Ms. Pak and Ms. Yun said to the Korean generations to come that their hope is that they don’t feel inferior as a Koreans living in Japan. To Japanese society they asked for respect for Korean rights in Japan and, regardless of one’s descent, they said that we need to talk more with each other.

The images are provided by the monthly magazine ‘IO’.

Due to the prolonged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Ms. Pak and Ms. Yun haven’t been able to see their family members. But, as second-generation Koreans in Japan, they have satisfied their wishes and they have shared their lives and memories with the first generation in their works. Their hope is to pass on Korean culture to the next generation. Their respect for the previous generation and their affection for the generations to come is human and universal. I hope everyone who encounters their work connects with the warm and strong yet gentle spirit of these women. As a director of this project, I interpret ‘The Songs for Korean Mothers’ as meaning ‘The Message from Second-Generation Korean Women in Japan’. We will continue to follow their works and wait for their new compositions to come.
(The images are provided by the monthly magazine ‘IO’.)

Event Overview

Organizer: Executive Committee of Pak Min-ui and Yun Jeong-suk Exhibition (Chang He-sun, Cho Yong-gi, Itagaki Ryuta, Kim Han-na, Pek Rum)
Co-organizers: The Research Center for Multiculturalism and Intersectionality in Complex Cities(MICCS) Global Mediterranean / Doshisha Center for Korean Studies / Korean Culture Study Club
Partners: The monthly magazine of ‘IO’/ Zainichi Korean Artistic Heritage Preservation Association (ZAHPA)
This project was partially supported by JSPS KAKENHI Grant Number 20J00963.


재일코리안이라는 틀을 넘어, 많은 이들의 마음을 울리는 그림과 시
–미술전람회&대담「박민의의 그림과 윤정숙의 시-그림과 시와 재일코리안 2세 여성의 생활사」를 기획하며–

글: 백름(Pek Rum)
옮긴이: 김한나

미술전람회: 10월 14~16일, 21~23일(도시샤대학 간바이칸 B1 갤러리)
대담: 10월 21일(간바이칸 하디홀)

맑은 하늘이 드넓게 펼쳐진 가을날, 화가 박민의 선생님과 동화작가 윤정숙 선생님의 작품 전람회와 두 분을 모시고 열린 대담까지 무사히 치를 수 있었다.

전시된 작품은 모두 19점. 이번 전람회 주요 작품 12점은 2020년에 월간 “이어”에 1년간 연재된 ‘어머니의 노래(The Songs for Korean Mothers)’시리즈. 이에 더해 신작 5점과, 그림책 “삼년고개(Sannen-touge)”(1981년 간행), “청개구리(Ao-gaeru)”(1991년 간행)의 원화를 1점씩 전시했다.

박민의 선생님(1947~)과 윤정숙 선생님(1946~)은 재일코리안 2세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번 전람회 주요 작품 12점과 신작 5점은 두 분의 합작으로 윤정숙 선생님이 시를 쓰고, 박민의 선생님이 그에 어울리는 그림을 그려 넣었다. 대담에서 사회를 맡은 이타가키 류타 선생님 말씀대로 어느 한 쪽이 주가 되고 다른 한 쪽이 그에 종속되는 것이 아닌, 두 작가가 공명하여 탄생한 작품들이다.

잡지에 연재된 작품 12점에는 계절마다 보이는 재일코리안의 생활상이 표현되어 있다. 아이와의 행복한 시간을 그린 ‘엄마의 행복(The Thing that Makes Mother Happy)’(월간 “이어” 2020년 1월호에 게재, 이하 동일), ‘눈(Snow)’(2월호), 재일코리안 1세와의 추억을 담은 ‘선물(Present)’(3월호), ‘할머니의 어머니(Great-Grandmothers)’(5월호), 가족과 함께 즐겼던 너른 바다를 그려낸 ‘밤바다(The Night Sea)’(7월호), 가족의 요양 보호 경험을 바탕으로 한 ‘백일홍(Zinnia)’(8월호), ‘흔들의자(Rocking Chair)’(9월호), 재일코리안의 식문화가 묘사된 ‘김장의 계절(The Season of Kimjang)’(11월호), 한반도 평화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아버지의 자장가(Cradle Song of Father)’(10월호), 조선학교를 무대로 한 ‘입학식(Entrance for Korean Primary School)’(4월호), ‘운동회(Sports Festival in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6월호), ‘연아 날아라!(Kites, High up in the Sky!)’(12월호).

신작 5점은 재일코리안이라는 정체성을 테마로 한 ‘혼자가 아니야(You Are Not the Only One)’, 박민의 선생님과 윤정숙 선생님의 우정을 글로 담은 ‘태평한 노래(Their Easy-Going Song)’, 마음 속에서 차오르는 서글픔을 표현한 ‘그런 날(My Eyes are Welling Up at the Platform)’, 재일코리안 1세인 어머니의 처지를 이해하지 못했던 어린 나날을 돌아보는 ‘후회(Regret)’, 만년에 고향을 떠올리는 재일코리안 1세들의 모습을 그린 ‘바람(Wind with a Full Harvest)’(이 작품들은 모두 이번 전람회에서 최초 공개).

이와 더불어 약 40년 전에 간행된 그림책 “삼년고개”와, “청개구리”의 원화도 함께 전시했다. 이 2점의 작품을 통해 화가 작품활동의 역사를 돌아볼 수 있는 전람회를 만들 수 있었다.

전시 자료에 대해서도 언급해 두고자 한다. 위의 “삼년고개”, “청개구리” 이외에 “사과 선물(Ringo-no-okurimono)”(1987 간행), “의좋은 형제(Heranai-inataba )”(1985년 간행) 등 박민의 선생님이 그림을 맡은 그림책, 삽화를 담당한 ‘사람 시리즈’(1980년대 이후), 그리고 윤정숙 선생님이 회원이기도 했던 ‘동화회’의 동인지 ‘동화(Tong-fa)’(제 1회: 1979년, 제 2회: 1982년, 제 3회: 1987년 간행). 두 작가가 사랑해 마지않는, 시인이자 ‘동화회’의 회원이기도 했던 고갑순 선생의 유작집 두 점(1985년, 1992년에 간행)이 전시되었다. 이 자료들을 통해 두 작가의 살아온 궤적, 영향을 받은 사람들, 작품 활동의 역사를 엿볼 수 있었다.

10월 21일에 열린 대담회에서는 필자가 전람회의 취지를 설명했고 이어서 박민의 선생님과 윤정숙 선생님 두 분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코디네이터: 월간 “이어” 장혜순 편집장). 연재 계기, 두 작가의 창작 과정, 재일코리안 1세인 부모님과 가족들과의 에피소드, 언어생활과 식생활, 육아와 요양 등의 경험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 관객의 공감 섞인 미소가 번지는 온화한 분위기의 대담회였다. 대담 마지막에 두 작가는 한반도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에 열등감을 갖지 말고 살아가길 바란다는 후세에 대한 바람과, 사람과 사람이 서로 만나 벽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하고 한반도에 뿌리가 있는 사람들의 존재를 존중하는 일본 사회가 되길 바란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끝이 보이지 않는 한반도의 분단을 배경으로, 가족과의 생이별마저도 감내해야했던 두 작가의 작품에는 재일코리안 1세에 경의를 표함과 동시에 후세에 대한 애정으로 가득차 있다. 특히 이번에 전시된 작품은 재일코리안이라는 틀을 넘어 많은 사람들의 경험, 감정도 포용한다. 앞으로도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기획을 맡은 필자는 재일조선인미술사를 연구하면서 만난 두 작가의 합작 ‘어머니의 노래’를 ‘재일코리안 2세 여성이 보내는 메시지’로 보고 있다. 앞으로도 더욱더 깊은 감상과 고찰을 통해 작품의 진면목을 발견해 내고자 한다.

(사진 제공: 월간 이어)

전람회 개요
전시기간: 2022년 10월 14일(금)~16일(일), 21일(금)~23일(일)
시간: 12시30분~16시30분
장소: 도시샤대학 간바이칸 B1 갤러리(입장 무료)

관련 이벤트
“대담 박민의와 윤정숙”
코디네이터: 장혜순(월간 “이어” 편집장)
사회: 이타가키 류타(Itagaki Ryuta)
보고: 백름(Pek Rum)

개최일: 10월 21일(금)
시간: 18:00~19:30(17:30 개장)
장소: 도시샤대학 간바이칸 하디홀

주최: “박민의의 그림과 윤정숙의 시”전 실행위원회(가나다순으로, 김한나, 백름, 이타가키 류타, 장혜순, 조영기)
공동주최: The Research Center for Multiculturalism and Intersectionality in Complex Cities(MICCS) Global Mediterranean / Doshisha Center for Korean Studies / Korean Culture Study Club
협력: The monthly magazine of ‘IO’/ Zainichi Korean Artistic Heritage Preservation Association (ZAHPA)
※본 사업은 일본 학술진흥회 과학연구비조성사업(특별연구원장려비) ‘1945년부터 60년대의 재일코리안 미술—동아시아를 넘어서는 디아스포라・아트’(과제번호 20J00963)의 연구 성과의 일부입니다.